개요Spring Boot 멀티 모듈 초기 구성을 끝낸 후, 레이어 및 패키지 구조 설계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Spring Boot 멀티 모듈 프로젝트 구성개요Spring Boot 멀티 모듈 프로젝트 구성 이유 및 방법들을 해당 문서에 정리한다 목적초기 사이드 프로젝트 설계에서 어떠한 설계로 시작하는게 가장 적합할지 고찰해 보는 과정을 통해프로젝pablo7.tistory.com 목표어떠한 기준으로 레이어를 설계했는지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코드 작성에 대한 원칙을 만든다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을 지킬 수 있는 패키지 구조를 고려하여가능한 기술 중심이 아닌, 기능 중심의 패키지 구조를 설계한다 기본 레이어 구조필자는 그동안 NestJS라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아래와 ..
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2 [Lock]의 후속 글로, 이 문서에서는 주로 Lock 성능 테스트에 대해 다룬다 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2 [Lock]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1 [스레드에 대한 이해]의 후속 글로, 이 문서에서는 주로 Lock에 대해 다룬다 JVM 환경에서의 스pablo7.tistory.com 목적Lock 성능 테스트를 통해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Lock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한다 지난 글로 Lock에 대해 학습하였으나, 이는 추상적인 느낌인 것이지, 정말 그런 한지 경험이 부족하다예를들면 지난 글에서 synchronized과 Reen..
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1 [스레드에 대한 이해]의 후속 글로, 이 문서에서는 주로 Lock에 대해 다룬다 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1 [스레드에 대한 이해]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 목적효율적으로 성능 최적화하기 위해,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 명확히 이해하기 위함즉, 멀티 스pablo7.tistory.com 목적Lock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통해 상황에 따라 동시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판단하는 힘을 기른다 😵 동시성 문제 (동기화 문제)앞 글에서 동시성 문제를 이미 언급했으나, 이 글의 주된 포커싱이 Lock이며, Lock은 '동시성 문제 해결'..
개요멘토링 2회 차 내용을 기록한다목적2회차 멘토링에서 본인의 부족했던 부분을 되돌아보며 기본기를 쌓기 위함(귀중한 멘토링 시간을 헛되이 날리지 않기 위해서 다음 회차가 되기 전까지 어떻게든 제대로 학습해와야함)다음 회차까지 작은 목표 설정 및 우선순위를 정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함F-LAB에서 제공된 멘토링 요약 본멘티님이 앞으로 할 것들이력서를 수정하여 Java 중심으로 기술 스택을 강조.Node.js로 구현한 작업을 Java로 변환하여 연습.ExecutorService와 AtomicLong을 활용한 Java 스레드 관리 연습.JPA 낙관적 락과 비관적 락의 차이점을 학습.MySQL LOAD DATA INFILE 명령어의 사용법과 성능 테스트.AWS S3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크론 작업 설계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