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멘토링 2회 차 내용을 기록한다
목적
- 2회차 멘토링에서 본인의 부족했던 부분을 되돌아보며 기본기를 쌓기 위함
(귀중한 멘토링 시간을 헛되이 날리지 않기 위해서 다음 회차가 되기 전까지 어떻게든 제대로 학습해와야함) - 다음 회차까지 작은 목표 설정 및 우선순위를 정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함
F-LAB에서 제공된 멘토링 요약 본
멘티님이 앞으로 할 것들
- 이력서를 수정하여 Java 중심으로 기술 스택을 강조.
- Node.js로 구현한 작업을 Java로 변환하여 연습.
- ExecutorService와 AtomicLong을 활용한 Java 스레드 관리 연습.
- JPA 낙관적 락과 비관적 락의 차이점을 학습.
- MySQL LOAD DATA INFILE 명령어의 사용법과 성능 테스트.
- AWS S3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크론 작업 설계 및 구현 연습.
- CSV 파일 전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학습.
- Java 스트림(Stream) API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연습.
- 프로젝트 설계 문서를 기반으로 실제 구현 시작.
F-LAB에서는 위와 같이 할 일을 정리해 주었으나,
사실 대부분의 초점이 내 이력서 기반으로 나온 할 일들이다
또한, 이력서 말고도 이번 2회차에서 멘토님께서는 스레드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설명해주셨다
스스로 정리한 우선 순위
- 이력서 업데이트하고 멘토님께 공유드리기
=> 멘토님께서 노션 이력서를 보고 피드백 주셨던 것을 떠올려 내용을 수정한다
=> 노션 이력서는 A4 용지 규격에 맞지 않음으로, A4 규격에 맞춘 F-LAB 양식의 이력서를 활용한다 - 스레드 학습 제대로 하기
=> JVM 환경에서의 싱글톤 패턴 글을 정리하면서 스레드와 동시성 문제에 대해,
어느정도 잘 알게 됐다고 착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2회차 멘토님의 스레드와 Lock에 대한 가르침을 들었을 때,
'아.. 내가 아직도 멘토님의 가르침을 완벽히 흡수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지 못 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스레드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원리까지 이해하고자 한다 - 프로젝트 설계 문서 작성
=> 타겟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를 세분화하여 각 서비스의 요구사항 명세를 작성해야한다
진행 상황
1. 이력서 업데이트 후 멘토님께 공유 완료 (3월 9일)
- 아무래도 멘토님께 빠르게 피드백을 받아 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해,
일요일 하루 종일 이력서를 새로 작성하고 바로 멘토님께 공유드리게 되었다
- 이후 멘토님께서 좋은 기업에 지원이 가능한지 여쭤봐주시기 까지 했다..
잘 되지 않더라도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신경써주심에 너무 감사했다
- 이후 멘토님께서 좋은 기업에 지원이 가능한지 여쭤봐주시기 까지 했다..
2. 스레드 학습 제대로 하기 (진행 중.. 3월 13일 약 50%)
- 멘토님의 가르침이 휘발되기 전에 빠르게 스레드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
- 월요일부터 본격적으로 스레드의 기본부터 다시 학습하게 됐으나...
아직도 스레드에 대한 학습을 진행 중 이다.. - 스레드에 대해 학습하면 학습할 수록 내가 얼마나 부족했는가를 깨닫게 되고 있다
하지만 단편적이었던 지식이 연결되고 있음을 느낀다 - 약 4일이나 되는 귀중한 시간을 스레드 학습에 투자했지만,
4일이나 걸렸던 것은 평소에 내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이지,
스레드 학습에 대해 과한 투자를 했다고 판단되진 않는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제대로 학습한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하지만 스레드 학습에 대한 문서는 도저히 간단하게 정리가 안되고 있다...
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1 [스레드에 대한 이해]
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 목적효율적으로 성능 최적화하기 위해,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 명확히 이해하기 위함즉, 멀티 스
pablo7.tistory.com
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2 [Lock] (작성 중..)
개요S/W 개발자로서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인 스레드에 대해 정리한다JVM 환경에서의 스레드 v1 [스레드에 대한 이해]의 후속 글로, 이 문서에서는 주로 Lock에 대해 다룬다 JVM 환경에서의 스
pablo7.tistory.com
3. 프로젝트 설계 문서 작성
- 제일 큰 일이다..
스레드 학습이 생각보다 너무 오래 걸리는 탓에,
앞으로 진행할 프로젝트에 시간 투자를 제대로 하지 못 했다 - 3월 14일 금요일 하루 몰아서 준비를 해볼 생각이다
'F-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토링 1회차 - 인사이트 (0) | 2025.03.05 |
---|---|
멘토링 1회차 (25.02.28) (0) | 2025.03.03 |
F-LAB을 시작하기 전에 (0) | 2025.03.01 |